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정보

2025 연봉 실수령액표 : 세후 월급 한 눈에 보기

by 지꼭정 2025. 2. 5.
반응형

연봉은 근로자가 1년 동안 받는 총 급여를 의미하지만,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은 세금과 4대 보험료를 공제한 실수령액입니다. 2025년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을 확인하고, 예시로 연봉 5천만 원의 실수령액을 상세히 계산해 보겠습니다.

 

 


1. 연봉과 실수령액 개념

연봉

세전 금액(총 급여)으로, 기본급, 상여금, 수당 등이 포함됩니다.


실수령액

연봉에서 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을 공제한 후 실제 받는 금액입니다.

 


2. 2025년 연봉 실수령액표 (예상치, 단위: 만 원)

2025년 연봉 실수령액표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을 고려하여 계산되었습니다. 표준적인 부양가족 1명을 기준으로 한 예시입니다. 

2025년 연봉 실수령액 표


*세금 및 보험료는 개인별 상황(부양가족 수, 공제 항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연봉 실수령액 계산 방법

 

1) 총 연봉 기준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세전금액의 연봉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2) 세금 및 4대 보험 공제 항목 계산

소득세: 국세청 소득세율 적용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국민연금: 월급의 4.5% (2025년 기준 상한액 적용 가능)
건강보험: 월급의 7.09%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고용보험: 월급의 0.9%

 


3) 실수령액 계산

총 연봉에서 위 공제 항목을 차감하면 실수령액이 산출됩니다.

 



4. 연봉 5천만 원 : 세후 월급 한눈에 보기

 

1) 월급 계산

 

연봉 5천만 원 = 연봉/12 = 월급 4,166,667원


2) 소득세 계산


첫 1,200만 원: 1,200만 원 × 6% = 72만 원
다음 3,800만 원: 3,800만 원 × 15% = 570만 원

총 소득세: 6,420,000 원


3) 지방소득세 계산

소득세의 10% = 642,000 원

 


4) 4대 보험료 계산

국민연금: 4,166,667 × 4.5%  = 187,500 원
건강보험: 4,166,667 × 7.09% = 295,042 원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 × 12.81% = 37,806 원
고용보험: 4,166,667 × 0.9% = 37,500 원


5) 월 실수령액 계산

4,166,667−(소득세+ 지방소득세 + 4대보험) = 3,600,619원


6) 연 실수령액 계산


3,600,619×12 = 43,207,428원

 

 

연봉 5천만원의 세후 월급은 3,600,619원이고 연 실수령액은 43,207,428원입니다.

 


5. 연봉 실수령액 늘리는 방법

 

1) 비과세 소득 활용

식대, 차량 유지비, 자녀 학자금 지원 등의 비과세 항목을 적극 활용하면 과세 대상 소득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활용

연말정산 시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연금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공제 등을 적극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3)연금저축·IRP 활용

연금저축(400만 원 한도) 및 개인형 퇴직연금(IRP, 700만 원 한도)에 가입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4)퇴직연금(DB형, DC형) 적극 활용

회사에서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경우 급여 구조를 퇴직연금으로 일부 전환하여 연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연봉과 실수령액을 정확히 이해하고, 절세 방법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급여 관리로 실 수령액을 늘려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